CoudNet@ 팀의 가시다님께서 리딩하시는 KANS Study (Kubernetes Advanced Networking Study) 4주차 스터디 내용 정리 이번 글에는 Service 타입 중 NodePort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Service NodePort k8s 클러스터 외부에서 k8s 내부 파드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NodePort 입니다.말 그대로 k8s 노드의 포트를 하나 뚫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입니다. 외부 클라이언트가 NodeIP:NodePort 로 접속 시,해당 노드의 iptables 규칙에 의해 SNAT/DNAT 되어 목적지 파드와 통신 후 리턴 트래픽은 최초 인입 노드를 경유하여 외부로 되돌아갑니다. NodePort 의 기본 할당 포트 범위는..
[Study 4주차] 쿠버네티스 Service - NodePort
CoudNet@ 팀의 가시다님께서 리딩하시는 KANS Study (Kubernetes Advanced Networking Study) 4주차 스터디 내용 정리 이번 글에는 Service 타입 중 NodePort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Service NodePort k8s 클러스터 외부에서 k8s 내부 파드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NodePort 입니다.말 그대로 k8s 노드의 포트를 하나 뚫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입니다. 외부 클라이언트가 NodeIP:NodePort 로 접속 시,해당 노드의 iptables 규칙에 의해 SNAT/DNAT 되어 목적지 파드와 통신 후 리턴 트래픽은 최초 인입 노드를 경유하여 외부로 되돌아갑니다. NodePort 의 기본 할당 포트 범위는..
2024.09.28